한글 문서에서 영어를 입력할 때는 기본적으로 키보드에 있는 [한/영] 키를 사용해 입력기를 변환합니다.
커서에 마우스를 살짝 얹어 놓았을 때, 현재 입력기가 영문인지 한글인지가 [A] 또는 [가] 아이콘으로 뜹니다.
기왕이면 윈도우처럼 편집기 하단에 입력 언어 표시가 되면 좋겠는데, 제가 아무리 찾아 봐도 안 보이더라고요.
아무튼 현재까지의 기능은 그렇습니다.
[한/영]키가 혹시 없다면 왼쪽 Shift + Spacebar 키를 함께 눌러서 한/영(제1글자판/제2글자판)을 전환합니다.
오른쪽 Shift + Spacebar 키를 누르면 일본어 입력기(제3글자판)로 전환됩니다.
일본어 입력기인 상태에서 한 번 더 오른쪽 Shift + Spacebar 키를 눌러주면 특수 기호 입력기(제4글자판)으로 바뀝니다.
일본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자주 사용해야 한다면, 입력기 환경 설정에서 글자판을 바꿀 수 있습니다.
Alt + F2 키를 누르면 [입력기 환경 설정] 대화상자가 열립니다.
현재 글자판부터 제 4 글자판까지 자주 사용하는 언어로 바꿀 수 있습니다.
메뉴판을 읽을 줄 알아야 바꿀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간단하게 메뉴판 살짝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 두벌식/세벌식
자판 배열이 자음과 모음, 두 벌로 나뉘어 있는 것을 두벌식 자판이라고 합니다.
세벌식은 속기에 주로 쓰이는 자판으로, 여러 손가락을 동시에 눌러 타이핑하는 자판 형태죠.
등등등 여러 자판이 있지만, 기본 설정된 자판을 씁니다. :)
□ 쿼티/드보락
얘도 궁금해서 좀 찾아봤습니다.
쿼티는 좀 낯익은 말이죠.
이게 제 아이폰 키보드를 캡춰한 이미지입니다.
쿼티는 이 그림과 같이 두벌식 자판의 '글자 배열'을 그대로 쓰는 '자판 배열'을 말합니다.
드보락은 빠른 타이핑을 위해 개발된 '영문 입력 자판 배열'을 말합니다.
저는 특수 기호를 자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제 4 글자판을 다른 외국어로 바꿔보겠습니다.
제 4 글자판을 '외국어'로 설정한 뒤, 언어 목록에서 '프랑스'를 선택합니다.
적용을 누르고, '확인'을 눌러 입력기 환경 설정을 완료합니다.
제 닉네임 '칼랭'은 프랑스어입니다.
câlin의 원래 발음은 '깔린'에 가깝지만, 'Gros Câlin'이라는 로맹 가리의 소설이 '그로칼랭'으로 국내 소개되었기 때문에.. 블라블라..
아무튼 칼랭이라는 단어를 써보겠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osVQ0/btr9DHcUzem/wh4HMmJPZgJrbMHm17sqm0/img.png)
으잉?
a는 어디 가고 q가 들어갔을까요?
아무래도 자판이 다른 것 같습니다.
이럴 때, 자판을 보는 방법: Alt + F1 키를 눌러주세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자판이 팝업으로 뜹니다. 자판을 열어 놓은 상태로 글자를 입력할 수 있어요.
제가 입력하고 싶은 글자는
câlin
이건데 자판에 없네요.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riends1/large/009.gif)
이 글자를 입력하는 방법은 다음 시간에...
![](https://t1.daumcdn.net/keditor/emoticon/face/large/071.png)
또 오실 거죠?
'컴퓨터 사용 설명서 > 한글 2020 사용 설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2020] 문서 작성하기 ⑧ 덧말 넣기 (0) | 2023.04.12 |
---|---|
[한글 2020] 문서 작성하기 ⑦ 글자 겹쳐 쓰는 방법 + 프랑스어 '악썽' 쓰기 (0) | 2023.04.09 |
[한글 2020] 문서 작성하기 ⑤ 기호·특수 문자 입력하기 (0) | 2023.04.06 |
[한글 2020] 문서 작성하기 ④ 한자 입력하는 방법(2) 한자 새김 & 한자를 한글로 바꾸기 (0) | 2023.04.05 |
[한글 2020] 문서 작성하기 ④ 한자 입력하는 방법(1) 한자 변환 & 획수로 한자 찾기 (0) | 2023.04.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