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타일 내보내기 / 저장하는 방법
스타일을 저장해 다른 문서에 저장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 편집이 완료되었다면, 스타일 대화상자의 '스타일 내보내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스타일 내보내기 대화상자가 열립니다.
더하기 모양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새 스타일 파일 추가 대화상자가 열립니다.
파일 이름을 입력해줍니다.
'추가' 버튼을 눌러줍니다.
편집한 스타일을 모두 선택한 뒤, 복사하기 아이콘(>)을 클릭해 '스타일 파일'에 복사합니다.
전체 복사를 클릭해 기존의 스타일에 덮어씌웁니다.
스타일을 저장합니다. 스타일은 .sty 확장자로 저장됩니다.
경로가 다소 복잡하면, 스타일 파일 찾는 게 어렵습니다.
그냥 저장하기 보다는, 저장할 폴더를 찾기 쉬운 폴더로 지정해 저장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타일 가져오기
저장해 둔 스타일을 다른 문서에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스타일 대화상자에서 '스타일 가져오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스타일 가져오기 대화상자가 열립니다.
여기서 '파일 선택' 아이콘을 클릭해 스타일 파일(.sty)을 불러옵니다.
스타일 파일이 저장돼 있는 폴더에서, 필요한 스타일 파일을 선택하고 '열기'를 클릭하면 됩니다.
아래와 같이, 불러온 스타일 파일에 있는 '스타일 목록'이 뜨는데요. 필요한 스타일을 고르거나 전체를 선택해 복사(>)하면 현재 작성중인 문서의 스타일에 불러온 스타일이 덮어씌워집니다.
일부만 필요한데 여러 개가 필요한 경우에는 Ctrl 키를 누른 상태로 각각 선택해주고, 스타일 목록 전체가 필요한 경우에는 목록 전체를 드래그하거나 Shift 키를 누른 상태로 목록 첫 줄과 마지막 줄을 선택하면 됩니다.
기존의 스타일 이름과 대체로 동일하기 때문에 '덮어 쓸 것인지' 묻는 대화상자가 뜹니다. '전체 복사'를 해서 덮어쓰기해줍니다.
아래와 같이 기존의 스타일에 불러온 스타일이 복사됩니다.
스타일 대화상자에서 확인해 봐도 폰트가 대체로 변경된 것을 알 수 있어요.
불러온 스타일에 '소제목'이라는 이름의 스타일이 없었기 때문에 기존의 '소제목' 스타일은 유지가 되고 있습니다.
▣ 스타일 적용하기
스타일을 가져와서 문서에 직접 적용하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① 스타일 적용할 문장이나 문단에 마우스 커서를 놓고, 서식 도구 상자의 '스타일' 목록에서 '개요1'을 선택합니다. 아래와 같이 '바탕'체가 '개요1'의 글꼴 서식인 '세종학당 제목체'로 변경됩니다.
② 폰트와 같은 서식이 이미 적용되어 있는 경우에는 '스타일'을 두 번 클릭해줘야 제대로 적용이 됩니다.
기존에 스타일이 적용된 경우라면 아래와 같이 '[OO] 스타일 모양으로 덮어 쓸까요?"라는 질문이 뜹니다. '덮어씀'을 눌러서, 덮어쓰기해줍니다.
③ '소제목'이라는 스타일이 적용돼 있는 글자를 '개요1' 스타일로 바꿔보겠습니다. 마우스 커서를 스타일 적용할 행에 놓고 '개요1'을 클릭합니다. 개요1의 '개요 번호' 서식은 적용되었지만 글꼴이나 속성이 바뀌지 않았습니다. 한 번 더 적용해 봐도 번호 서식에만 밑줄 속성이 사라지고 글자에는 밑줄이 그대로 남아 있고, 글꼴도 그대로입니다.
기존의 스타일이 삭제되지 않은 상태라서 그렇습니다.
기존의 스타일을 스타일 대화상자의 목록에서 찾아서 선택하고, 밑에 'X'자 모양의 '스타일 지우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정말 지울 것인지 묻는 대화상자가 뜨는데, '지움' 눌러서 지워주면 됩니다.
그러면 위 그림과 같이 목록에서 해당 스타일이 삭제됩니다.
다시 적용해 보면, 아래와 같이 제대로 적용이 됩니다.
세 번에 걸쳐서, '스타일'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스타일 활용은 확실히 하실 수 있겠지요?
부족한 부분이 보이면 추후 보충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컴퓨터 사용 설명서 > 한글 2020 사용 설명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글 2020] 찾아서 바꾸는 방법 ① 찾기 (0) | 2023.06.13 |
---|---|
[한글 2020] 새 문서 기본 글꼴 바꾸는 방법(스타일 내보내기) (0) | 2023.06.11 |
[한글 2020] 스타일 편집하기 (0) | 2023.05.31 |
[한글 2020] 스타일 추가˙적용하는 방법 (0) | 2023.05.29 |
[한글 2020] 스타일 기능 알아보기 (0) | 2023.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