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사용 설명서/한글 2020 사용 설명서

[한글 2020] 스타일 편집하기

by 칼랭 2023. 5. 31.
반응형

다른 문서에서 사용한 스타일을 가져오거나 이미 만들어져 있는 스타일을 편집하는 방법, 그리고 스타일을 완성해서 저장하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 스타일 편집하는 방법

이전 작업(스타일 추가·적용하는 방법)에서 만들었던 스타일을 편집해보겠습니다.

 

 

F6

 

 


 

 

□ 스타일 대화상자에서 직접 편집하는 방법

 

F6 단축키를 눌러 '스타일' 대화상자를 불러옵니다.

 

 

스타일 편집하기

 

 

커서가 위치한 부분의 '스타일'이 선택돼 있어요. 

이 스타일을 편집할게요.

 

② 스타일 대화상자 하단의 연필 모양 아이콘클릭해 '스타일 편집하기' 대화상자를 엽니다.

 

 

한글 2020

 

 

'스타일 이름', '영문 이름', 다음 문단에 적용할 스타일', '문단 모양', '글자 모양', '글머리표/문단 번호'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 추가하기' 대화상자에서는 '스타일 종류(문단, 글자)'를 선택할 수 있지만 '스타일 편집하기'에서는 스타일 종류를 편집할 수 없습니다.

 

문단 모양, 글자 모양, 글머리표/문단 번호, 스타일 이름만 편집하겠습니다.

 

 

문단 모양 명령

 

③ 문단 모양을 클릭합니다.

 

 

한글 문단 편집

 

 

④ '가운데 정렬'로 설정돼 있는 정렬 방식을 '양쪽 정렬'로 변경합니다.

 

⑤ 줄 간격 200%로 돼 있는 것은 160%로 변경합니다.

 

 

테두리/배경

 

 

⑥ 테두리/배경 탭을 클릭하고, 배경의 '면색'을 변경합니다.(펼침 버튼▼을 클릭해 원하는 색상을 선택하면 됩니다.)

 

문단 모양 설정이 완료되었다면 '설정'을 클릭해 적용을 완료해줍니다.

 

 

글자 모양 명령

 

 

⑦글자 모양을 클릭해 '글자 모양' 대화상자를 엽니다.

 

 

글자 모양 편집

 

 

⑧ 글꼴을 '배찌체'로 변경합니다.

 

⑨ 속성에서 '진하게'를 클릭하고 '설정'을 클릭해 적용을 완료해줍니다.

 

 

 

 

⑩ '글머리표/문단 번호'를 클릭해서 '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 대화상자를 엽니다.

 

 

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

 

 

⑪ 그림 글머리표 탭을 클릭하고, 원하는 모양의 그림 글머리표 모양을 선택합니다.

     '설정'을 클릭해 적용을 완료합니다.

 

⑫ 스타일 이름을 '소제목2'로 수정합니다.

 

 

 

 

   '설정'을 클릭해 적용을 완료합니다.

 

 

 

 

 

아래와 같이 스타일 목록의 '스타일 이름'이 '소제목2'로 바뀌어 있고, 문단 모양 정보와 글자 모양 정보 등이 새로 입력한 속성값으로 바뀌어 있습니다.

 

 

 

 

'설정'을 클릭해서 적용해주면, 아래와 같이 기존에 '소제목'으로 설정돼 있던 부분이 새로 설정한 글꼴(폰트, 글자체)과 문단 모양, 글머리표 모양으로 바뀝니다.  여러 문장, 문단에 걸쳐 '스타일'이 적용돼 있다면 해당 스타일은 모두 변경됩니다.

 

 

 

 


 

 

□ 문서에서 직접 편집한 뒤, 스타일 편집에 적용하는 방법

스타일이 적용된 문장이나 문단을 문서 상에서 직접 편집한 뒤에 변경된 내용을 기존 스타일에 저장하는 방법입니다.

말이 좀 어려워진 것 같은데요.

 

스타일이 적용된 문장이나 문단을 드래그해서 '글자 모양'을 수정하면, 문서 상에서는 글자 모양이 수정되지만 '스타일' 자체가 편집되지는 않습니다. 그러니까 드래그해서 바꾼 부분에만 바꾼 글자 모양이 적용되는 것이죠. 이것을 전체 문서에 적용하려면 그 문장에 적용된 스타일 자체를 편집해줘야 합니다. 스타일은 위와 같은 방법으로, '스타일 편집하기' 대화상자를 열어서 글자 모양과 문단 모양 등을 바꿔줄 수도 있지만, 문서 상에서 글꼴이나 문단 모양을 수정한 뒤에, 수정한 정보를 '반영'해주는 방법으로 스타일을 편집할 수도 있습니다. 

 

문서를 편집해서, 편집한 내용을 '스타일 내용'으로 적용하는 방법을 정리해볼게요.

 

 

스타일 편집

 

 

문서에서 글꼴, 문단 등을 수정하려고 하는 부분을 드래그해서 선택합니다.

 

② 마우스 오른쪽 버튼을 눌러 바꾸려는 항목('글자 모양', '문단 모양', '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을 선택해서 대화상자를 열어줍니다. 단축키(글자 모양 = Alt + L , 문단 모양 = Alt + T, 글머리표 및 문단 번호 = Ctrl + K, N)를 눌러서 열 수도 있어요.

 

 

글자 모양 설정

 

 

③ 글자 모양만 간단하게 바꿔보겠습니다. '글자 모양'을 선택해서 글자 모양 대화상자를 열고, 글꼴을 '빛고을광주'체로 바꿉니다. '설정'을 눌러, 적용해줍니다.

 

 

 

 

④ 마우스 오른쪽 클릭으로 나온 메뉴에서 '스타일'을 선택해주거나, 단축키 F6을 눌러서 '스타일 대화상자'를 열어줍니다.

 

스타일 대화상자 하단에 '현재 모양으로 바꾸기' 아이콘을 클릭합니다.

 

⑥ '반영'을 클릭해서, 현재 모양을 스타일 내용에 반영합니다. 

 

 

현재 모양으로 바꾸기

 

 

선택돼 있는 스타일(소제목2)의 스타일 정보가 변경됩니다.

 

⑦ '설정'을 클릭해 적용해주면, 아래와 같이 해당 스타일로 설정된 부분에 변경된 내용이 적용됩니다.

 

 

 

 


 

 

■ 스타일 작업창에서 스타일 편집하는 방법

스타일 메뉴에서 '스타일 작업 창'을 클릭하면 한글 프로그램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 '스타일 상자'가 나옵니다.

 

 

스타일 작업창

 

 

스타일 적용할 일이 많다면, 이렇게 스타일 상자를 열어 놓고 작업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겠죠.

 

 

 

 

스타일에 마우스 포인터를 가져다 댄 뒤, 오른쪽 버튼을 누르면 추가 메뉴가 나옵니다. 추가, 편집, 현재 모양으로 바꾸기, 지우기 등의 기능을 이용할 수 있습니다.

 

스타일을 만들어 추가한 뒤, 이것을 편집해보겠습니다.

 

본문 글꼴을 '나눔손글씨 옥비체'로 설정한 상태에서, 

 

 

 

 

글꼴을 바꿔볼게요.

 

① 먼저 본문의 문장을 드래그해서 글꼴을 수정합니다.

 

② '본문' 스타일에 마우스를 두고, '오른쪽 버튼'을 눌러 추가 메뉴를 나오게 하고요.

 

③ '스타일 현재 모양으로 바꾸기'를 클릭합니다.

 

 

 

 

④ '현재 모양을 [본문] 스타일 내용에 반영할까요?' 메시지창에서 '반영'을 클릭해 적용을 완료해줍니다.

 

 

 

 

첫 문장만 글꼴이 바뀌어 있었던 것에서, '본문' 스타일이 적용된 모든 문장의 글꼴이 새로 설정한 글꼴, '마루 부리 조금굵은'으로 바뀝니다.

 

알려드린 방법 중 본인에게 맞는 방법을 찾아서 '스타일'을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스타일 가져오기', '내보내기'까지 모두 정리하려고 했는데 생각보다 길어진 것 같아서, 다음 글에서 정리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