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사용 설명서/한글 2020 사용 설명서

[한글 2020] 빨간색 밑줄이 그어진 이유(+맞춤법 검사기 활용하는 방법)

by 칼랭 2023. 4. 19.
반응형

 

 

유입 경로 중에 '한글에서 밑줄이 그어진 이유'를 검색해서 찾아오신 경로가 있더라고요. 그래서 오늘은 한글 아래 빨간색 밑줄이 그어지는 이유를 알아보고, 해결 방법을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문서를 작성하다 보면, 아래와 같이 밑줄이 그어지는 것을 발견하게 돼요.

 

 

한글 문서 _ 맞춤법 오류 알림

 

 

단어를 맞춤법에 맞게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밑줄이 그어집니다. 한글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파워포인트나 MS워드에서도 글을 쓰다 보면 밑줄이 그어지는 경우가 있어요.

 

 

MS워드_맞춤법 오류 알림

 

 

두 프로그램의 '빨간 밑줄'이 좀 다르죠?

 

한글에서는 '좋아해요'가 밑도 끝도 없이 '맞춤법 오류'로 잡혀요. '정신과 병원'도 띄어쓰기가 맞는데 오류로 잡힙니다. 처음에 틀린 단어를 입력했다가 수정해도, 빨간 줄이 없어지지 않고 남아 있는 경우도 있거든요. '좋아해요'는 제가 '조아해요'로 썼다가 고쳤는데도 끝내 '빨간 줄'이 안 없어지더라고요. 그리고 맞춤법이 맞는데도 오류로 잡히는 경우도 있어요.

 

MS워드에서는 '고전영화'는 '고전 영화'로 띄어 써야 하는데 오류로 안 잡히고, '거슬'도 안 잡혀요. '거슬'이 사전에 있는 단어라서 그런 것 같아요.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로 맞춤법 검사를 해볼게요.

 

 

 

네이버 맞춤법 검사기

 

 

얘도 보면, 외국인 이름은 인식을 못해서 '오류'로 규정하고 멋대로 바꿔놨어요. '거슬'도 안 고쳤네요.

 

제가 왜 이 얘기를 장황하게 하느냐면요. 밑줄 그어진 거에 너무 연연하지는 마시라는 말씀을 드리려고 그런 겁니다. 워드프로세서는 맞춤법을 완벽하게 잡아내지 못해요. 맞춤법에 맞게 글을 쓰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맞춤법 공부를 해야 한다. 제가 드리고 싶은 말씀은 이거고요. 하지만 나는 정말로 맞춤법의 'ㅁ'자도 모른다. 누가 조금이라도 교정을 해줘야 덜 부끄럽다. 이런 생각을 가진 분들은 한글 프로그램에 있는 '맞춤법 검사' 기능을 사용해 보세요. 제가 세 가지(한글, 워드, 네이버) 비교해 보니, 한글이 그래도 '맥락'까지 봐가면서 맞춤법 오류를 잡아내네요.

 

 

자, 그럼 빨간 줄 없애야겠죠?

빨간 줄을 없앨 때도, '맞춤법 검사' 기능을 사용합니다.

 

 

도구 > 맞춤법

 

 

[도구] 메뉴에서 [맞춤법] 명령을 클릭하거나, [도구]의 기본 도구 상자에서 [맞춤법] 명령을 클릭하거나

 

 

 

 

단축키 F8을 눌러서 '맞춤법 검사/교정' 대화상자를 열어주세요.

 

 

맞춤법 검사/교정

 

 

여기서 '시작'을 눌러주면

커서가 있는 시점에서부터 맞춤법 검사를 하기때문에, 커서가 뒷부분에 있다면 별 거 한 것도 없이

 

 

 

 

요게 뜹니다.

 

 

 

 

 

 

다시 '검사'를 클릭해주세요.

문서의 처음부터 맞춤법 검사를 진행합니다.

 

 

 

 

이렇게 엉뚱한 교정 안을 제시하기도 하죠. 한컴이 말도 안 되는 얘기를 하면 '지나가기'를 눌러서 패스(PASS)해주세요.

 

 

맞춤법 검사/교정

 

 

맞는 얘기를 할 때는 '바꾸기'를 눌러서 맞춤법을 교정해 줍니다.

 

 

 

 

 

그러면 이렇게 바뀌어요.

 

대화상자 아래쪽을 보시면, 왜 틀렸는지가 나와요.

'따라감니다'는 '조사·어미·접두사·접미사 오류'라고 해요.

 

 

 

 

'가나다' 아이콘을 클릭하면

 

 

 

 

상세한 내용이 나옵니다.

 

 

 

 

 

'거슬'도 왜 잘못된 건지 제대로 알려주고 있네요.

 

 

MS워드 맞춤법 검사기

 

 

MS워드는 '사전'에 있냐 없냐만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히려 띄어쓰기 교정을 더 잘하는 것 같아요. 하지만 한글에 최적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거슬'이라는 단어가 존재한다는 이유만으로 '틀린 단어'라는 것을 걸러내지 못합니다.

 

'맞춤법 검사/교정' 기능으로 검사 및 교정을 완료하니 아래와 같이 나왔습니다.

 

 

 

 

수정된 부분의 빨간 밑줄은 사라졌습니다.

 

문제는 맞춤법에 틀리진 않았는데 빨간 줄이 그어 있는 부분이죠.

얠 없애야 하는데 말이죠.

 

다시 F8을 눌러서 맞춤법 검사를 해볼게요.

 

 

 

 

왜 틀렸다고 했는지, 심심해서 한번 봤습니다. 네, 사람 이름이니까 어절을 분석할 수 없었겠죠? 아무튼 이 글자 아래 있는 빨간 줄을 없애고 싶어요. 그럴 때는, '맞춤법 검사/교정' 대화상자에서 '계속 지나가기'를 눌러주세요. 앞으로 이 단어는 맞춤법 검사를 하지 않겠다는 뜻이에요.

 

 

 

 

짜잔~

 

 

 

 

빨간 줄이 없어졌습니다.

 

'계속 지나가기'를 클릭해도, 빨간 줄이 잠시 남아 있곤 해요. 마우스로 몇 번 클릭해주면 적용이 완료되어서 빨간줄이 사라집니다.

 

 

이런 거, 저런 거 다 귀찮다, 하시는 분들은 맞춤법 기능을 꺼 놓으세요.

 

[도구] 메뉴의 '기본 도구 상자'에서

 

 

 

 

 '환경 설정'을 클릭해서

 

 

 

 

[맞춤법 도우미 작동] 항목에 체크되어 있는 것을 없애면 됩니다.

 

 

 

 

그러면 이렇게 틀린 글자가 있어도, 절대 '빨간 줄'이 그어지지 않습니다.

 

 

 

 

맞춤법 도우미를 꺼서 생기는 '부끄러움'은... 제 몫이 아닙니다. 헤헤~

 

 

 

 

맞춤법 검사하고 수정하는 방법, 차암 쉽죠?

 

맞춤법 검사도 해 보시고, 왜 틀렸는지도 확인해 보시고, 즐거운 '글쓰기' 시간 가져보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한글 프로그램으로 문서 작성 중 '빨간 글씨'로 적히는 경우에 해결 방법은 아래 글을 봐주세요.

▣ 빨간 글씨로 입력되는 이유(feat. 변경 내용 추적)

 

[한글 2020] 빨간 글씨로 입력되는 이유(feat. 변경 내용 추적)

한글을 입력하다 보면 갑자기 '빨간 글씨'로 입력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변경 내용 추적' 기능이 활성화된 상태라서 그런데요. 이럴 때는 당황하지 마시고, '한글 프로그램' 하단의 '상황선'을

giznote.tistory.com

 

 

 

 

728x90
반응형

댓글